Stats-short

BA (Batting Average), 타율

안타(H)를 타수(AB)로 나눈 값이다. .300 이상이면 안타를 잘 치는 타자로 간주된다. 볼넷에 의한 출루나 장타력은 고려되지 않아 타자의 생산성을 평가하기엔 제한적이다.

Latex formula


OBP (On Base Percentage), 출루율

타자의 출루 횟수를 타석(PA)으로 나눈 값이다. 타석에서 아웃당하지 않고 얼마나 잘 출루하는지 알 수 있다. 단, 볼넷과 홈런을 동일하게 취급하기 때문에 출루의 퀄리티를 고려하진 못한다.

Latex formula


SLG (Slugging Percentage), 장타율

타자의 총루타(total bases)를 타수(AB)로 나눈 값이다. 모든 안타의 가치를 동일하게 간주하는 타율(BA)과 달리, 안타마다 베이스만큼의 가중치를 부여하므로 실제 득점 기여도와 상관성이 더 높다. 단, 볼넷에 의한 출루를 고려하지 않으며, 베이스에 비례한 가중치는 다소 임의적이다.

Latex formula


ISO (Isolated Power), 순수장타율

타자의 장타율(SLG)에서 타율(BA)을 뺀 값이다. 단타의 영향을 받는 장타율과 달리 2루타, 3루타, 홈런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타자의 순수한 장타 능력을 더 잘 설명한다.

Latex formula


OPS (On-base Plus Slugging)

타자의 출루율(OBP)과 장타율(SLG)을 단순히 더한 값이다. 타자의 출루와 장타 능력을 동시에 고려할수 있어 유용한 스탯이다. 단, 서로 다른 스케일의 출루율과 장타율을 동일한 가중치로 더한다는 것은 단점이다.

Latex formula


OPS+ (On-base Plus Slugging Plus)

출루율(OBP)과 장타율(SLG)을 각각 리그 평균값(lg OBP, lg SLG)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파크팩터로 조정하여 100을 곱한 값이다. OPS가 평균보다 얼마나 더 뛰어난지 쉽게 알수 있어 유용하다. 단, 상대적으로 출루율이 저평가될수 있다.

Latex formula


GPA (Gross Production Average)

출루율(OBP)에 1.8배 가중치를 두어 장타율(SLG)과 더하고, 이를 4로 나눈 값이다. 출루율과 장타율의 가중치가 동일한 OPS의 단점을 개선한 스탯이다.

Latex formula


wOBA (Weighted On-Base Average)

볼넷(BB), 1루타(1B), 2루타(2B), 3루타(3B), 홈런(HR) 등에 각각 다른 가중치를 곱하여 모두 더한 후, 이를 타석(PA)으로 나눈 값이다. 가중치는 아웃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기대득점에, 상수(wOBA scale)를 곱한 값이다. 상수는 wOBA가 출루율(OBP)과 동일한 스케일을 같도록 하기 위해 추가된 것이다.

Latex formula


wRAA (Weighted Runs Above Average)

wOBA를 리그 평균값(lg wOBA)으로 뺀 뒤, 득점 스케일로 환산하기 위해 상수(wOBA scale)로 나누고 타석수(PA)를 곱한 것이다. 리그평균보다 타석에서 몇 점을 더 기여했는지 알수 있다. 누적값이므로 타석이 많을수록 유리하다.

Latex formula


wRC (Weighted Runs Created)

타자가 타석에서 기여한 총 득점을 의미한다. 타석이 많을수록 유리하다.

Latex formula


wRC+ (Weighted Runs Created Plus)

타자의 타석당 득점 기여도를 리그평균과 파크팩터로 조정한 후 100을 곱한 값이다. 시대나 구장이 다른 타자의 생산력을 비교하기에 가장 적합하다.

Latex formula


BABIP (Batting Average on Balls In Play)

타자의 인플레이 타구 중 안타의 비율을 의미한다. 타구의 퀄리티, 상대팀 수비, 타자의 스피드와 관련 있으며, 특히 적은 샘플에서는 운의 영향이 크다. 리그평균은 .300 수준이다.

Latex formula


RA9 (Runs Allowed per 9 Innings Pitched)

투수가 허용한 실점(R)을 이닝(IP)으로 나누고 9를 곱한 값이다. 즉, 9이닝당 평균실점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해당 투수가 실점을 얼마나 잘 억제했는지 알수있다.

Latex formula


ERA (Earned Run Average)

투수의 자책점(ER)을 이닝(IP)으로 나누고 9를 곱한 값이다. 즉, 9이닝당 평균자책점을 의미한다. 투수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스탯이다.

Latex formula


ERA+ (Earned Run Average Plus)

투수의 평균자책점(ERA)을 파크팩터와 리그평균으로 조정하고 100을 곱한 값이다. 리그평균(100)을 기준으로, 얼마나 뛰어난지 알수 있다.

Latex formula


ERA- (Earned Run Average Minus)

투수의 평균자책점(ERA)을 파크팩터와 리그평균으로 조정하고 100을 곱한 값이다. 리그평균(100)을 기준으로, 이보다 얼만큼 낮은 수치인지 직관적으로 알수 있다.

Latex formula


WHIP (Walks Plus Hits Divided by Innings Pitched)

이닝당 출루 허용률을 의미한다. 계산의 단순함에 비해 투수의 능력을 설명하는데 효과적이다. 단, 모든 출루 이벤트를 동일하게 간주하는 것이 단점이다.

Latex formula


FIP (Fielding Independent Pitching)

투수만의 책임이라 볼 수 있는 요소인 삼진(K), 볼넷(BB), 홈런(HR)만을 대상으로 하여 ERA와 유사한 스케일을 갖도록 만든 스탯이다. 이벤트별 가중치는 기대실점에 비례한다. 적은 샘플 데이터에서 ERA보다 투수의 실제 기여도를 평가하기에 적합하다.

Latex formula


FIP- (Fielding Independent Pitching Minus)

투수의 FIP를 파크팩터와 리그평균으로 조정하고 100을 곱한 값이다. 리그평균(100)을 기준으로, 이보다 얼만큼 낮은 수치인지 직관적으로 알수 있다.

Latex formula


xFIP (Expected Fielding Independent Pitching)

FIP 스탯의 홈런 수를 리그평균 플라이볼 대비 홈런 비율(lg HR/lg FB)로 구해서 적용한 스탯이다. 투수의 피홈런은 단일 시즌 기준으로 변동성이 매우 커서 이를 보정한 것이다. 적은 샘플에서도 높은 신뢰도를 보인다.

Latex formula


LOB% (Left on Base Percentage)

출루시킨 주자에 대해서 대략적으로 득점을 허용하지 않은 비율을 의미한다. 이 값이 높으면 위기관리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단, 이 스탯은 연도별 변동성이 크다.

Latex formula


wSB (Weighted Stolen Base Runs)

도루 성공(SB)으로 인한 득점 기여와 실패(CS)로 인한 손해를 더한 값이다. 도루 성공률이 높을수록, 도루가 많을수록 값이 높다.

Latex formu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