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배리 본즈의 고의사구와 WAR

배리 본즈는 2004년에 .537 wOBA와 11.6 WAR의 엄청난 성적을 기록했다. 놀라운 수치임에도 불구하고, 심지어 여기엔 그가 얻은 120개의 고의사구가 포함되어 있지도 않다. 만약 고의사구의 기여도를 감안해서 본즈의 2004년 성적을 다시 평가한다면 그의 WAR는 얼마나 될까?

우선, 가장 간단하게 고의사구를 볼넷과 동일한 가치를 지닌다고 가정해보자. 2004년 볼넷에 대한 wOBA 계수(wBB)는 .707이다. wOBA 계산식 분모에 120을, 분자에 .707×120을 추가로 반영하면, 그의 wOBA는 .537에서 .570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wRAA는 108에서 126으로 상승한다. 16점의 득점 기여도가 더해지게 되며 이를 WAR 계산에 반영하면, 약 1.6이 추가되어 그의 2004년 WAR는 13.2가 된다. 배리 본즈처럼 이렇게 극단적으로 많은 고의사구를 얻어낸 선수의 경우, 고의사구의 가치를 어떻게 반영하느냐에 따라 1~2WAR의 큰 차이를 보일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고의사구를 볼넷의 가치와 동일하게 보는 것은 적절할까? Retroheet.org에 의하면, 2002-2004년 데이터를 바탕으로 했을 때, 고의사구의 기대 득점 가치(Run value)는 볼넷의 약 55% 수준이며, 반면 기대 승리 가치(Win value)는 볼넷의 겨우 24% 수준이다. 통계적으로 약 10점의 Run value가 1승의 가치를 지니는 것에 반해, 고의사구는 무려 약 20점 이상이 1승의 가치를 지닌다. 한 마디로 고의사구는 다른 스탯에 비해 팀의 승리와 상관도가 크게 떨어진다는 것이며, 상대편에서 고의사구를 매우 적절한 상황에 허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무튼 이를 바탕으로 했을 때, 고의사구의 가치는 볼넷의 약 25%, 혹은 높게 봐야 50% 정도의 가치를 갖는다고 봐야겠다. 그렇다면 배리 본즈의 2004년 성적을 고의사구의 가치를 다시 반영하여 계산해보면 어떨까?

IBB Value 미반영 25% 50% 100%
wOBA_IBB 0.537 0.467 0.501 0.570
wRAA_IBB 108 72 90 126
WAR_IBB 11.6 7.9 9.7 13.3

위의 표에서 ‘미반영’은 본즈 원래의 스탯을, 25%/50%/100%는 각각 고의사구를 볼넷의 25%/50%/100% 가치로 반영하여 계산한 스탯을 의미한다. 놀랍게도 고의사구를 타자의 생산성 척도로 포함시켰을 때, 오히려 WAR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즈의 wOBA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wOBA는 타자의 타석 당 득점 생산력을 의미하는데, 만일 고의사구를 볼넷의 절반 정도 가치를 지녔다고 가정할 경우, 타석 당 아웃 대비 득점 기여도(wOBA/wOBA_scale)가 겨우 0.3점 수준이 된다. 실제 배리 본즈의 평균 타석 당 아웃 대비 득점 기여도가 .455점임을 감안하면, 상당히 손해를 보게 되는 셈이다. 물론 wOBA가 .350 이하인 타자의 경우는 오히려 고의사구를 많이 얻어낼 수록 생산력이 증가하게 된다.

그렇다면 고의사구를 감안하여 실제 배리 본즈의 기여도를 더 낮게 평가하는 것이 맞을까? 아마도 그렇지 않을 것이다. 고의사구는 배리 본즈의 의도와 관계없이 상대편이 경기 상황에 따라서 선택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배리 본즈의 생산 능력과 직접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은 옳지 않으며, 차라리 현재와 같이 미반영하여 wOBA를 계산하는 것이 적절하다. 만약 고의사구를 타자의 능력으로 간주한다면, 내셔널리그 8번 타자들의 wOBA와 WAR는 어부지리로 상승하게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2004년 배리 본즈가 고의사구를 많이 얻지 않았다면, 그의 클래식 누적 스탯 – 안타, 홈런, 득점, 타점 등은 물론 증가했겠지만, 그의 세이버 스탯 – wOBA, wRAA, WAR 등 – 에는 큰 변화가 없었을 것이다. 오히려 타수 증가로 인해 평균 회귀 현상이 좀 더 나타나 비율 스탯은 더 나빠졌을 가능성이 크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