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A (Gross Production Average)

GPA는 출루율(OBP)에 가중치를 좀 더 부여해서 장타율(SLG)과 더하고, 이를 4로 나눈 값이다. OPS는 간단하지만 타자의 공격력을 잘 설명하는 지표이다. 그러나 출루율과 장타율을 동일한 가중치로 더함으로써, 출루율을 과소평가한다. GPA는 이를 보완한 스탯이다. 출루율에 1.8배 가중치를 더 부여해서 더하고, 그 결과를 타율의 스케일과 비슷하게 만들기 위해 4로 나눈다. 1920-2019년 규정타석 타자 기준으로, GPA 분포는 다음과 같다. GradeGPA1 (4%).3282 (11%).3063 (23%).2884 (40%).2725 ...

OPS (On-base Plus Slugging)

OPS는 출루율(OBP)과 장타율(SLG)을 단순히 더한 값이다. 출루율과 장타율은 모두 타자의 생산성을 잘 설명하는 스탯이다. 따라서 이 둘을 단순히 더하면 둘 중 하나만 보는 것보다 낫다는 논리이다. 실제로, OPS는 타자의 출루와 장타 능력을 모두 고려하므로 매우 유용하다. 1920-2019년 규정타석 타자 기준으로, OPS 분포는 다음과 같다. GradeOPS1 (4%).9852 (11%).9123 (23%).8544 (40%).8035 (60%).7536 (77%).7077 (89%).6648 (96%).6209 (100%).461 규정타석의 타자들은 대부분 OPS가 ...

SLG (Slugging Percentage): 장타율

장타율은 총 루타수(TB)를 타수(AB)로 나눈 값이다. 타율과 달리 1루타, 2루타, 3루타, 홈런에 대해서 각각 1, 2, 3, 4의 가중치를 곱하여 평균한 것이다. 즉, 장타율은 타수당 기대되는 평균 루타를 의미한다. 모든 안타의 가치를 동일하게 가정하는 타율과 달리, 장타에 대해서 가중치를 더 부여하기 때문에 타율보다 타자의 생산성을 평가하기에 더 효과적이다. 1920-2019년 규정타석 타자 기준으로, 장타율 분포는 다음과 같다. GradeSLG1 (4%).5832 ...

OBP (On-Base Percentage): 출루율

출루율은 안타(H), 볼넷(BB), 몸에 맞는 공(HBP)으로 인한 출루 횟수를 출루 기회로 나눈 값이다. 출루 기회는 타수(AB), 볼넷(BB), 몸에 맞는 공(HBP), 그리고 희생플라이(SF)를 포함한다. 에러로 인한 출루는 고려하지 않는다. 즉, 출루율은 타자가 타석에 들어섰을 때, 아웃을 당하지 않고 얼마나 자주 출루하는지를 의미한다. 야구의 가장 중요한 자원은 아웃카운트인데, 이를 얼마나 잘 소비하지 않는지 알수 있다. 따라서 타석에서 타자의 ...

BA (Batting Average): 타율

타율은 안타(H)를 타수(AB)로 나눈 값이다. 타수는 타석(PA)에서 희생번트(SB) , 희생플라이(SF), 볼넷(BB), 몸에 맞는 공(HBP) 및 타격방해와 주루방해로 출루한 것을 제외한 것이다. 즉, 타율은 타자가 적극적으로 타격에 임했을 때, 얼마나 자주 안타를 만들어내는지를 의미한다. 타자의 생산성이나 출루보다는 안타에 초점을 맞춘 스탯이다. 만약 안타를 잘 만들어내는 타자를 좋은 타자라 정의한다면, 좋은 타자를 평가할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스탯이다. 1920-2019년 규정타석 타자 ...

최고의 임팩트를 보여준 타자들

앞에서 최고의 임팩트를 보여준 투수들을 확인했다. 역시 페드로 마르티네스와 랜디 존슨이 압도적이었다. 그렇다면 타자들은 어떨까? 마찬가지 방법으로 타자들의 임팩트를 확인하자. 그런데 투수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면 문제가 있다. 기간을 어떻게 하던지, 베이브 루스 기록이 1~10위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가장 뛰어난 타자들의 7년연속 성적을 확인하면, 1위부터 8위까지가 모두 베이브 루스의 기록이다. 즉, 베이브 루스의 어떤 ...

타자의 wRC+는 어떻게 계산하는가?

wRC+는 타자의 생산성을 확인하기 위한 대표적인 스탯이다. 리그 평균과 파크팩터로 조정되었으며, 평균값이 100이라서 이해가 쉽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계산은 까다로워, 계산식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그러나 타자의 wOBA 또는 wRAA, 그리고 파크팩터만 안다면 손쉽게 계산이 가능하다. wRC+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wRC+ = 100 × ((wRAA/PA + lg R/PA) + (lg R/PA - (PF × lg R/PA))) / ...

마이크 트라웃의 트리플 크라운 스코어(Triple Crown Score)

마이크 트라웃은 뛰어난 생산성에 비해 클래식 스탯 성적은 그렇게 인상적이지 않다. 타율, 홈런, 타점은 전통적으로 타자의 성적을 확인하는 대표적인 스탯이다. 트라웃은 이 스탯만을 기준으로 했을 때 얼만큼 뛰어날까? 이 세 스탯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인덱스를 통해 살펴보자. 지난 2012년 빌 제임스(Bill James)가 고안한 트리플 크라운 스코어가 유용하겠다. 트리플 크라운 스코어는 타자의 타율, 홈런, 타점이 얼만큼 뛰어난지를 점수로 ...

성적이 꾸준한 타자와 기복이 심한 타자

2010년 이후 가장 꾸준했던 타자, 그리고 가장 기복이 심했던 타자는 누구일까? 이를 확인해보자. 2010년 이후 50타석 이상을 소화했던 월간 wRC+ 성적을 기준으로, 30개 이상의 성적 샘플이 있는 타자들의 wRC+ 변동성을 확인한다. 꾸준함을 확인하기 위해 wRC+의 변동 계수(coefficient of variance, CV)를 확인한다. 변동 계수는 값의 변동성을 확인하기 위한 지표로, 표준편차(std)를 평균(mean)으로 나눈 값이다.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CV = ...

삼진 대비 볼넷에 의한 기여도가 높은 타자들

삼진아웃은 적게 당하면서, 볼넷은 많이 얻어내는 타자는 유용하다. 쓸데없는 아웃카운트 소비는 적고, 볼넷에 의한 출루는 많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타자는 뛰어난 선구안과 인내심, 그리고 상당한 수준의 컨택능력이 있어야 한다. 이와 관련한 타자의 능력을 확인하기 위한 지표로 볼넷-삼진 비율(BB/K), 볼넷-삼진 비율의 차이(BB%-K%), 또는 기존에 소개한 선구안 관련 지표들을 확인할 수 있겠다. 이번엔 이러한 능력으로 타자가 기여한 점수를 ...

3할 타율에 대한 타자들의 집착은 여전한가?

흔히 3할 타율은 교타자의 필수요건으로 인식된다. 거의 동일한 성적이지만 .300과 .299 타율은 차이가 크게 느껴진다. 실제로 타자들의 3할 타율에 대한 집착을 수치로 확인할 수 있을까? 아래 그림은 메이저리그 1920년부터 2018년까지 .290부터 .309까지의 타율을 기록한 규정타석을 채운 타자의 숫자이다. .290부터 .300까지 타율이 증가할수록 점차 빈도가 줄어드는 추세이지만, 특이하게도 .299에서 빈도가 눈에 띄게 줄고 반대로 .300에서는 크게 늘어난다. ...

아메리칸리그 사이영상은 누가 받아야 할까? 저스틴 벌랜더? 블레이크 스넬?

아메리칸리그 사이영상은 누가 탈까? 저스틴 벌랜더와 블레이크 스넬이 강력한 후보로 꼽힌다. 벌랜더는 16승 9패 2.67 ERA의 성적을, 스넬은 20승 5패 1.97 ERA의 성적을 기록 중이다. 다승과 평균자책점만을 봤을 때 스넬이 훨씬 인상적이다. 하지만 벌랜더는 벌써 202이닝을 소화했으나, 스넬은 겨우 169이닝만을 소화했다. 소화한 이닝이 32이닝이나 차이가 나는 셈이다. 결국 낮은 자책점과 많은 이닝에 대해서 각각 얼만큼의 ...

타격 슬래시라인으로 타자의 생산성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알 수 있을까?

우리는 타격 슬래시라인 - 타율, 출루율, 장타율 - 으로 타자의 성적을 쉽게 확인한다. 이 셋을 종합하면 타격 생산력을 매우 정확하게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가중출루율(wOBA)을 확인하면 더욱 간단하다. 그러나 타율, 출루율, 장타율 스탯이 아직은 더 익숙하며, 이들을 적절히 조합하면 wOBA 수준으로 타자의 생산성을 정확하게 알 수도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조합하면 될까? 2000년 이후 단일시즌 300타석 ...

투수 포지션을 감안한 오타니 쇼헤이의 타격 생산력

'이도류' 오타나 쇼헤이의 활약이 놀랍다. 그는 투수임에도 불구하고 타격 능력까지 매우 뛰어나다. 그런데 포지션을 감안한 타격 능력을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 사실 투수뿐 아니라 모든 포지션의 평균적인 공격력은 다르다. 포수와 유격수처럼 수비 능력이 더 중요한 포지션의 경우, 선수들의 타격 능력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반대로, 지명타자나 1루수처럼 수비 부담이 적은 포지션은 평균적인 타격 능력이 매우 뛰어나다. 2010~2017년을 기준으로, ...

2017년 앨버트 푸홀스는 정말 최악이었나?

2017년 앨버트 푸홀스는 최악의 한 해를 보냈다. 그는 241/.286/.386라는 절망적인 타격 슬래시라인을 기록했다. 그가 기록한 2017년 -2.0 WAR는 2000년 이후 단일시즌 기록으로는 전체에서 7번째로 나쁜 기록이다. 2000년 이후 최악의 WAR를 기록한 타자들은 다음과 같다.

Rank
Season
Name
PA
WAR

1
2002
Neifi Perez
585
-2.9

2
2009
Yuniesky Betancourt
508
-2.5

3
2016
Alexei Ramirez
506
-2.4

4
2005
Bernie Williams
546
-2.3

5
2013
Adeiny Hechavarria
578
-2.1

5
2009
Aubrey Huff
597
-2.1

7
2017
Albert Pujols
636
-2.0

7
2014
Matt Dominguez
607
-2.0

7
2012
Michael Young
651
-2.0

10
2011
Raul Ibanez
575
-1.9

10
2015
Pablo Sandoval
505
-1.9

12
2000
Marquis Grissom
640
-1.8

12
2013
Paul Konerko
520
-1.8

12
2006
Ronny Cedeno
572
-1.8

15
2010
Carlos Lee
649
-1.7

15
2000
Mike Lansing
548
-1.7

15
2014
Allen Craig
505
-1.7

15
2012
Eric Hosmer
598
-1.7

19
2000
Mike Lamb
538
-1.6

19
2014
Domonic Brown
512
-1.6

19
2002
Juan Uribe
618
-1.6

WAR로 ...